
대만은 일본어, 중국어(국어), 대만어가 충돌하며 언어 정책과 민족 정체성이 얽혔다. 세대 간 언어 경험을 통해 대만 사회의 정체성 변화를 살펴본다.서론대만의 근현대사는 곧 언어의 역사라 할 수 있다. 일본 식민지 시기에는 일본어가 강제되었고, 국민당 정부 이주 이후에는 중국어(국어)가 표준어로 자리 잡았다. 하지만 대만어(민남어), 객가어 등 지역 언어는 여전히 일상 속에서 사용되며, 세대마다 서로 다른 언어 경험을 축적했다. 이러한 언어 정책의 충돌은 곧 민족 정체성과 정치적 정체성의 문제와 직결되었다.일본 식민지 시기의 언어 정책 (1895~1945)일본어 보급과 강제일본은 대만을 식민지로 편입하면서 학교와 행정에서 일본어 사용을 강제했다. ‘일본어 보급 운동’을 통해 대만 사회를 동화시키려 했으며..